맨위로가기

김철웅 (피아노 연주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철웅은 북한 출신의 피아노 연주자이다. 4세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 평양음악무용대학에서 혹독한 훈련을 받았으며,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입상을 계기로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음악원에서 유학했다. 귀국 후 국립교향악단 수석 피아니스트로 활동했으나, 자유로운 예술 활동에 대한 제약으로 2001년 탈북했다. 이후 대한민국에 정착하여 한세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콘서트 피아니스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뉴욕 카네기 홀에서 자선 콘서트를 개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임원식
    임원식은 평안북도 의주 출신으로, 일본과 미국에서 음악을 수학하고 지휘자, 피아니스트, 교육자로 활동하며, 아시아인 최초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했고, 고려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국립교향악단 지휘자를 역임했으며,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교장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채선엽
    채선엽은 이화여고, 이화여전, 줄리어드 음악학교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음악학과 과장, 예술대학 학장, 재단 이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교육자이며, 피아니스트와 소프라노로 활동하며 1966년 이화여대에서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 모스크바 음악원 동문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은 러시아의 낭만주의 후기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쇼팽과 리스트의 영향에서 벗어나 신비주의적이고 전위적인 스타일과 '신비 화음' 체계를 구축했으며, 음악과 빛을 결합한 《미스테리움》을 기획하는 등 20세기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모스크바 음악원 동문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 후기 낭만파 작곡가이자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모스크바 음악원 출신으로 피아노 협주곡 2번, 3번 등 걸작을 남겼으며 러시아 혁명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연주와 작곡 활동을 펼쳤다.
김철웅 (피아노 연주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8년 김철웅
본명김철웅
한글김철웅
한자金哲雄
로마자 표기Gim Cheolung
출생1974년
출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직업피아노 연주자, 교수
학력평양음악무용대학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음악원
경력평양국립교향악단 수석 피아니스트
백제예술대학교 음악과 외래교수
활동 기간1999년 ~
알려진 이유2001년 탈북

2. 유년기 및 교육

김철웅은 4살 때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피아노를 처음 배우기 시작했다.[10] 북한의 유력한 집안에서 성장했는데, 아버지는 도 당 책임자(도지사)였고, 어머니는 대학교 지도자였다. 할머니는 평양에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백화점을 설립하여 1992년까지 백화점 사장을 역임했다. 김철웅의 음악적 재능은 5살 때 피아노 연습을 시작하면서 일찍이 발견되었다.[3]

2. 1. 평양음악무용대학

김철웅은 8살에 평양음악무용대학에 조기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10] 1981년, 8세의 나이에 평양음악무용대학에 입학한 그는 이후 14년 동안 김정일을 찬양하는 곡들을 연주하기 위한 혹독한 훈련을 받았다.[4]

2. 2. 차이콥스키 음악원 유학

1994년 제10회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 참가하여 차이콥스키 음악원의 류드밀라 교수에게 발탁되어, 1995년부터 1999년까지 4년간 모스크바에서 유학했다.[10] 21세의 김철웅은 북한 밖의 음악을 접해본 적이 없었기에, 모스크바는 그에게 매혹적인 곳이었고 새로운 세상을 발견한 듯한 기분을 느끼게 했다.[4]

3. 탈북

김철웅은 기근으로 탈북한 사람들과 달리, 특권층이었지만 예술가로서의 삶에 대한 제약 때문에 탈북을 결심했다. 2001년 리처드 클레이더만의 곡을 연주하다가 신고를 당해 탈북을 결심하게 되었다.[11] 이후 교향악단과 부모님께 거짓말을 하고 어머니에게 받은 2000USD를 가지고 두만강을 건넜다.[3] 중국에서 대한민국으로 가기 위해 여러 번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우여곡절 끝에 2002년 12월에 대한민국에 도착했다.[3]

3. 1. 탈북 계기

2011년 7월 언론 인터뷰에서 김철웅은 2001년 여자친구에게 리처드 클레이더만의 곡 〈가을의 속삭임〉을 연주하다 신고당해 자기비판서 10장을 쓴 것이 탈북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누군가가 '김철웅이 반동음악을 연주한다'고 신고한 것이었다.[11] 2001년 10월, 그는 곡 연습 중 국가안전부에 신고당했다.[5] 부모의 신분 덕분에 10페이지 분량의 자기비판서를 쓰는 것으로 끝났지만, 이 사건은 그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4] 기근으로 탈북한 다른 사람들과 달리 특권층이었던 김철웅은 예술가로서의 삶에 대한 제약 때문에 탈북을 결심했다.

그는 교향악단에는 친척의 사망을 이유로 휴가를 내고, 부모에게는 다른 도시에서 공연한다고 말했다. 그의 어머니는 약 2000USD를 숨겨두었는데, 그는 떠날 때 그것을 가져갔다.[3]

김철웅은 두만강을 건너면 중국을 통해 자유 세계로 갈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5] 그는 강으로 갔고, 평양 시민증 소지자였기 때문에 검문소를 문제없이 통과했다. 한밤중에 강에 도착했을 때 잠복해 있던 군인들에게 발견되었지만, 2000USD를 주고 강을 건너 작은 마을로 안내받았다. 그곳에서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다고 알렸지만, 그들은 쌀을 베고 수확하고 제재소에서 나무를 베는 일을 시켰다.[3]

2002년 봄, 한 탈북자가 그에게 한인 목사가 운영하는 교회를 알려주었다. 그 교회에는 피아노가 있었고, 그는 피아노를 연주하기 위해 지하 성경 공부 모임에 참여했다. 교회는 난민들에게 음식과 숙소를 제공했다. 피아노를 보자 눈물을 흘렸고, 처음에는 피아니스트가 그를 믿지 않아 만지지도 못하게 했지만, 다른 사람들의 청원으로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4]

중국에 사는 동안 대한민국이 탈북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5] 그는 다니던 교회의 선교사들에게 가짜 여권을 만들어달라고 했다. 그러나 베이징 공항에서 탈출하려다 이민국에 체포되어 중국 감옥에서 3개월을 보냈고, 북한으로 송환되는 기차에 태워졌다.[6] 그는 경찰이 화장실을 사용하게 해주려고 묶었던 것을 풀어주는 틈을 타 창문을 통해 탈출했다.[3]

두 달 후, 몽골로 넘어가려다 중국에서 다시 구금되어 6개월을 더 감옥에서 보낸 후 북한 수용소로 보내졌다.[3][6] 담당 조사관은 그가 누구인지 알고 있었고, 그의 아버지 덕분에 한 달 전에 그 자리에 올랐다고 말했다. 조사관 덕분에 그는 김철웅이 아닌 일반인으로 분류되어 사흘 후에 풀려났다.[3]

그는 풀려나자마자 두만강으로 갔다.[3] 김철웅은 또 다른 위조 여권을 샀고, 이번에는 중국 관리들이 속았다.[6] 그는 2002년 12월에 대한민국에 도착했다.[3]

3. 2. 탈북 과정

김철웅은 기근으로 탈북한 사람들과 달리, 특권층이었지만 예술가로서의 삶에 대한 제약 때문에 탈북을 결심했다. 그는 여러 차례 탈북 시도와 체포, 북송 위기를 겪었다.

김철웅은 풀려나자마자 두만강으로 가[3] 또 다른 위조 여권을 구입했고, 이번에는 중국 관리들이 속았다.[6] 2002년 12월, 대한민국에 도착했다.[3]

3. 2. 1. 1차 탈북 시도와 체포

2001년 10월, 김철웅은 곡 연습 중 국가안전부에 신고를 당했다.[5] 부모의 신분 덕분에 10페이지 분량의 자기비판서 작성으로 끝났지만, 이는 그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4] 기근으로 탈북한 다른 사람들과 달리, 특권층이었던 김철웅은 예술가로서의 삶에 대한 제약 때문에 탈북을 결심했다.

그는 교향악단에는 친척의 사망을 이유로, 부모에게는 다른 도시 공연을 핑계로 휴가를 냈다. 그의 어머니가 숨겨둔 약 2000USD를 가지고 떠났다.[3]

김철웅은 두만강을 건너 중국을 통해 자유 세계로 갈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5] 그는 강으로 향했고, 평양 시민증 덕분에 검문소를 무사히 통과했다. 한밤중에 강에 도착했을 때 잠복 중이던 군인들에게 발견되었지만, 2000USD를 주고 강을 건너 작은 마을로 안내받았다. 그곳에서 그는 피아노 연주 실력을 알렸지만, 그들은 그에게 쌀 수확, 제재소 일 등을 시켰다.[3]

2002년 봄, 한 탈북자가 그에게 한인 목사가 운영하는, 피아노가 있는 교회를 알려주었다. 그는 피아노를 연주하기 위해 지하 성경 공부 모임에 참여했다. 교회는 난민들에게 음식과 숙소도 제공했다. 피아노를 본 그는 눈물을 흘렸고, 처음에는 피아니스트가 그를 믿지 않아 연주를 허락하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들의 청원으로 연주할 기회를 얻었다.[4]

중국에 사는 동안 김철웅은 대한민국이 탈북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5] 그는 교회 선교사들에게 가짜 여권을 부탁했다. 그러나 베이징 공항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이민국에 체포되어 중국 감옥에서 3개월을 보낸 후 북한 송환 기차에 태워졌다.[6] 그는 경찰이 화장실 사용을 위해 묶었던 것을 풀어주는 틈을 타 창문으로 탈출했다.[3]

두 달 후, 그는 몽골로 넘어가려다 중국에서 다시 체포되었다. 6개월을 더 감옥에서 보낸 후 북한 수용소로 보내졌다.[3][6] 그를 담당한 조사관은 그를 알아보았고, 그의 아버지 덕분에 승진했다고 말했다. 조사관 덕분에 그는 일반인으로 분류되어 사흘 만에 풀려났다.[3]

3. 2. 2. 2차 탈북 시도와 체포

2001년 10월, 김철웅은 곡 연습 중 국가안전부에 신고당했다.[5] 부모의 신분 덕분에 10쪽 분량의 자기비판서 작성으로 끝났지만, 이는 그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4] 기근으로 탈북한 사람들과 달리, 특권층이었던 김철웅은 예술가로서의 삶에 대한 제약 때문에 탈북을 결심했다.

그는 교향악단에는 친척의 사망을 이유로, 부모에게는 다른 도시 공연을 핑계로 휴가를 냈다. 그의 어머니는 약 2000USD를 숨겨두었고, 그는 이를 가지고 떠났다.[3]

김철웅은 두만강을 건너 중국을 통해 자유 세계로 갈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5] 평양 시민증 덕분에 검문소를 통과하여 강에 도착했지만, 잠복 군인들에게 발각되었다. 그는 2000USD를 주고 강을 건너 작은 마을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피아노 연주를 할 수 있다고 알렸지만, 사람들은 그에게 쌀 수확, 제재소 일 등을 시켰다.[3]

2002년 봄, 한 탈북자가 알려준 한인 목사 운영 교회에는 피아노가 있었다. 그는 피아노를 연주하기 위해 지하 성경 공부 모임에 참여했다. 교회는 난민들에게 음식과 숙소도 제공했다. 피아노를 본 그는 눈물을 흘렸고, 처음에는 피아니스트가 그를 믿지 않아 연주를 허락하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들의 도움으로 연주할 기회를 얻었다.[4]

중국에서 그는 대한민국이 탈북자에게 피난처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5] 그는 교회 선교사들에게 가짜 여권을 부탁했지만, 베이징 공항에서 탈출하려다 체포되어 중국 감옥에서 3개월을 보냈다. 이후 북한 송환 기차에 태워졌으나, 경찰이 화장실 사용을 위해 묶었던 것을 풀어준 틈을 타 창문으로 탈출했다.[3]

두 달 후, 몽골로 가려다 중국에서 다시 체포되어 6개월을 감옥에서 보낸 후 북한 수용소로 보내졌다.[3][6] 조사관은 그의 아버지를 알고 있었고, 김철웅의 아버지 덕분에 승진한 사람이었다. 조사관 덕분에 그는 일반인으로 분류되어 사흘 만에 풀려났다.[3]

그는 풀려나자마자 두만강으로 갔다.[3] 김철웅은 다시 위조 여권을 샀고, 이번에는 중국 관리들이 속았다.[6] 그는 2002년 12월에 대한민국에 도착했다.[3]

3. 2. 3. 3차 탈북 시도와 체포

2001년 10월, 김철웅은 곡 연습 중 국가안전부에 신고를 당했다.[5] 부모의 신분 덕분에 10페이지 분량의 자기비판서 작성으로 끝났지만, 이 사건은 그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4] 기근으로 탈북한 사람들과 달리, 특권층이었던 김철웅은 예술가로서의 삶에 대한 제약 때문에 탈북을 결심했다.

그는 교향악단에는 친척의 사망을, 부모에게는 다른 도시 공연을 핑계로 휴가를 냈다. 그의 어머니가 숨겨둔 약 2000USD를 가지고 떠났다.[3]

김철웅은 두만강을 건너 중국을 통해 자유 세계로 갈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강으로 향했다.[5] 평양 시민증 덕분에 검문소를 통과했고, 한밤중에 강에 도착해 잠복 중이던 군인들에게 발각되었다. 그는 2000USD를 주고 강을 건너 작은 마을로 안내받았다. 그곳에서 피아노 연주를 할 수 있다고 알렸지만, 사람들은 그에게 쌀을 베고 수확하고 제재소에서 나무를 베는 일을 시켰다.[3]

2002년 봄, 한 탈북자가 알려준 한인 목사가 운영하는 교회에는 피아노가 있었다. 그는 피아노를 연주하기 위해 지하 성경 공부 모임에 참여했다. 교회는 난민들에게 음식과 숙소를 제공했다. 피아노를 본 그는 눈물을 흘렸고, 처음에는 피아니스트가 그를 믿지 않아 만지지도 못하게 했다. 다른 사람들의 청원으로 연주 기회를 얻게 되었다.[4]

중국 체류 중, 대한민국이 탈북자에게 피난처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5] 그는 교회 선교사들에게 가짜 여권 제작을 부탁했다. 그러나 베이징 공항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이민국에 체포되어 중국 감옥에서 3개월을 보낸 후 북한 송환 기차에 태워졌다.[6] 그는 경찰이 화장실 사용을 위해 묶었던 것을 풀어주는 틈을 타 창문으로 탈출했다.[3]

두 달 후, 몽골을 통해 넘어가려다 중국에서 다시 체포되었다. 그는 6개월을 더 감옥에서 보낸 후 북한 수용소로 보내졌다.[3][6] 담당 조사관은 그를 알아보고, 그의 아버지 덕분에 승진했다며 그를 일반인으로 분류했다. 그는 사흘 만에 풀려났다.[3]

풀려나자마자 두만강으로 간 그는[3] 또 다른 위조 여권을 구입했고, 이번에는 중국 관리들이 속았다.[6] 그는 2002년 12월에 대한민국에 도착했다.[3]

3. 2. 4. 대한민국 입국

2001년 10월, 김철웅은 곡 연습 중 국가안전부에 신고당했다.[5] 부모의 신분 덕분에 10페이지 분량의 자기비판서만 작성했지만, 이 사건은 그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4] 기근으로 탈북한 사람들과 달리, 특권층이었던 김철웅은 예술가로서의 삶에 대한 제약 때문에 탈북을 결심했다.

그는 교향악단에는 친척의 사망을 이유로 휴가를 내고, 부모에게는 다른 도시에서 공연한다고 말했다. 그의 어머니가 숨겨둔 약 2000USD를 가지고 떠났다.[3]

김철웅은 두만강을 건너 중국을 통해 자유 세계로 갈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5] 그는 강으로 향했고, 평양 시민증 덕분에 검문소를 무사히 통과했다. 한밤중에 강에 도착했을 때 잠복해 있던 군인들에게 발견되었지만, 2000USD를 주고 강을 건너 작은 마을로 안내받았다. 그곳에서 피아노 연주를 할 수 있다고 알렸지만, 그들은 그를 쌀 베기, 수확, 제재소에서 나무 베는 일에 투입했다.[3]

2002년 봄, 한 탈북자가 그에게 한인 목사가 운영하는 교회를 알려주었다. 그 교회에는 피아노가 있었고, 그는 피아노를 연주하기 위해 지하 성경 공부 모임에 참여했다. 교회는 난민들에게 음식과 숙소를 제공했다. 피아노를 보자 눈물을 흘렸고, 처음에는 피아니스트가 그를 믿지 않아 만지지도 못하게 했지만, 다른 사람들의 도움으로 연주할 수 있게 되었다.[4]

중국에 사는 동안 대한민국이 탈북자에게 피난처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5] 그는 교회의 선교사들에게 가짜 여권을 부탁했다. 그러나 베이징 공항에서 탈출하려다 이민국에 체포되어 중국 감옥에서 3개월을 보냈고, 북한으로 송환되는 기차에 태워졌다.[6] 그는 경찰이 화장실을 사용하게 해주려고 묶었던 것을 풀어주는 틈을 타 창문으로 탈출했다.[3]

두 달 후, 몽골로 넘어가려다 중국에서 다시 구금되었다. 6개월을 더 감옥에서 보낸 후 북한 수용소로 보내졌다.[3][6] 그를 담당했던 조사관은 그가 누구인지 알고 있었고, 그의 아버지 덕분에 한 달 전에 그 자리에 올랐다고 말했다. 조사관 덕분에 그는 일반인으로 분류되어 사흘 후에 풀려났다.[3]

그는 풀려나자마자 두만강으로 갔다.[3] 김철웅은 또 다른 위조 여권을 샀고, 이번에는 중국 관리들이 속았다.[6] 그는 2002년 12월에 대한민국에 도착했다.[3]

4. 탈북 이후의 삶

김철웅은 한세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으며,[1] 국제적으로 알려진 콘서트 피아니스트가 되었고, 대한민국에서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7] 2009년 4월 17일에는 뉴욕 시 카네기 홀의 Zankel Hall에서 자선 콘서트를 열었다.[4]

4. 1. 대한민국 정착

2004년, 김철웅은 한세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1] 이후 국제적으로 알려진 콘서트 피아니스트가 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7]

2009년 4월 17일, 탈북 이후 꿈을 이루어 뉴욕 시에 있는 카네기 홀의 Zankel Hall에서 자선 콘서트를 열었다.[4]

4. 2. 국제 활동

2004년, 김철웅은 한세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1] 이후 콘서트 피아니스트로서 국제적으로 알려졌으며, 대한민국에서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7]

2009년 4월 17일, 탈북 이후 꿈을 이루어 뉴욕 시 카네기 홀의 Zankel Hall에서 자선 콘서트를 열었다.[4]

참조

[1] 뉴스 재즈에 미쳐 사선(死線)을 넘다 http://weekly1.chosu[...] 2015-11-17
[2] 서적 Escape from North Korea: The Untold Story of Asia's Underground Railroad https://archive.org/[...] Encounter Books
[3] 간행물 The Innerview Ep129 The brilliant and courageous pianist KIM Cheol-woong https://www.youtube.[...] 2017-11-21
[4] 뉴스 North Korean defector's flight to musical freedom https://www.nytimes.[...] 2017-11-21
[5] 뉴스 Interrogated for playing the wrong tune https://www.bbc.com/[...] 2017-11-21
[6] 뉴스 A New Book, 'Escape From North Korea,' Sheds Light on 21st-Century Slavery—and a Modern Underground Railroad http://www.tabletmag[...] 2017-11-21
[7] 뉴스 Interrogated for playing the wrong tune https://www.bbc.co.u[...] BBC News 2015-07-08
[8] 서적 Escape from North Korea: The Untold Story of Asia's Underground Railroad Encounter Books 2013
[9] 웹사이트 http://www.koreadail[...]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rticle.joins[...] 2015-01-13
[11] 웹사이트 http://www.seoul.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